달걀을 고를 때 달걀 껍데기에 적힌 표시사항을 살펴보면 신선한 계란인지 동물복지 계란인지 계란 정보를 알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 난각(달걀 껍데기)에 적힌 번호와 기호(코드)가 의미하는 바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계란을 산 후 냉장고에 정리해 놓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에는 계란 유통기한이 적힌 계란판이 없어서 대충 계란 산 날짜를 가늠하면서 먹거든요. 저처럼 이런 경우에 달걀 껍데기에 적힌 난각 번호를 보고 달걀 신선도와 생산농장정보, 그리고 사육환경을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 나누어보도록 할게요.
✔ 달걀 껍데기 산란일자 표시제
2019년 8월 23일부터 달걀 껍데기에 총 10자리 숫자 및 기호를 통해 달걀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도가 시행되었습니다. 이는 2017년 살충제 계란 사건을 계기로 소비자가 달걀의 정보를 알수 있도록 한 조치이기도 합니다.
달걀 껍데기 표시 의미 (난각번호)
달걀을 살펴보면 위의 사진처럼 달걀 껍데기에 숫자와 알파벳이 섞인 표시가 적혀있어요. (위의 숫자와 농장 번호는 제가 설명을 위해 임의로 조합하여 농장 번호를 기재하였으니 참고 부탁드려요.)
참고로 달걀 정보가 적힌 고유 표시(코드)는 식용색소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것이니 안심하셔도 될 것 같아요.
1. 산란일 표기
난각 번호의 앞 4자리는 산란일자가 월일의 순서로 기재되어 있습니다. 위의 사진을 예를 들면 0305일 경우는 03월 05일에 산란된 계란입니다.
계란판을 버려서 언제산 계란인지 모르시는 분들은 대체방안으로 산란일자를 토대로 신선도를 가늠해 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2. 농장 고유번호 (생산자 고유번호)
가축사육업 허가⋅등록증에 기재된 5자리로 이루어진 생산자 고유 번호로 식품안전을 다루는 '식품안전나라'사이트에서 검색 및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 농장 고유번호를 검색하는 방법
[식품안전나라] 접속 > 위해⋅예방> 달걀 농장정보(산란계)에서 농장 고유번호 5자리를 입력하신 후 검색을 누르면 농가명, 인허가 일자, 사업자명 그리고 농가소재지(주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사육환경 번호
① 방사사육 : 방목장에서 자유롭게 다니도록 사육하여 생산한 달걀 1마리/m²
② 축사 내 평사 : 케이지 축사를 자유롭게 다니도록 사육 9마리/m²
③ 개선 케이지 : 13마리/m²
④ 기존 케이지 : 20마리/m²
여기서 숫자가 작을수록 닭이 생활하는 공간의 크기가 넓은 농가인데요. 그런 의미에서 1~2번은 동물복지를 실현하며 사육한 농가라고 볼 수 있어요. 먹어본 경험으로 미루어보았을 때 자유 방사 달걀이나 2번 평사에서 키운 달걀의 노른자가 더 색깔이 샛노랗고 탱탱했어요. 또한 달걀 특유의 비린내도 적고 고소한 맛이 더 좋더라고요.
국내외에서 동물복지를 위해서 채식주의를 하는 분들도 많이 계시는데 저는 사실 그 정도까지 실천하지는 못하지만 육식을 최대한 줄이고 다소 비싸더라도 동물복지를 실현하는 농가의 제품을 구매하는 편이에요.
이러한 농가의 달걀의 신선도와 맛도 맛이지만 닭이나 여타 사육하는 동물들이 좀 더 좋은 환경에서 지낼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져봅니다.
댓글